백도어 플레이는 수비수의 뒷공간을 노리는 플레이이다. 프로그래밍 분야에서는 백도어가 취약점을 뜻하기도 하는데 농구에서도 비슷하다. 비는 골밑, 림과 가까운 곳의 취약점을 공략하는 플레이라는 점에서 뜻이 통한다.
순간적으로 텅 빈 골밑으로 침투하는 동료에게 전달된 패스는 바로 득점으로 연결될 수 있다. 때문에 성공한 백도어 공격은 A패스 상황으로 탄성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엘리웁이나 덩크로 마무리 되는 경우가 많은 NBA의 백도어 컷 공격은 하이라이트 단골이기도 하다.
Basketball Tactics Backdoor Play #1
하지만 백도어 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골밑의 수비를 끌어낼 필요가 있다. 골밑의 침투할 공간이 있어야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백도어 컷 장면에서 빅맨이 패스를 뿌려주는 상황이 종종 연출된다.
수비가 정돈되지 않은 상황이나 전담 수비수가 한눈팔고 있지 않은 이상 바로 백도어 컷 상황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 때문에 좀더 전술적으로 스크린을 이용하기도 한다.
빅맨들 같은 경우 포스트에서 자리잡기 싸움이나 상대 수비의 디나이 수비중 순간적으로 이런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이런 상황을 만들어 내기 위해, 하이포스트에서 공격을 진행할 것처럼 상대를 속이기도하고 크로스 스크린으로 미스 매치를 유도 하기도 한다.
특정 픽앤팝 상황이나 상대가 지역방어를 사용할 시 스윙맨들이 백도어 컷을 주문 받기도 한다. 이럴 경우 골밑의 빅맨이 도움수비에 들어가기 전에 간결하게 득점을 만들어 내거나 다시 아웃 사이드로 빼줘서 3점을 노리기도 한다.
과거 로우포스트에서의 공격작업이 많던 시기에는 팍팍한 골밑이 백도어 플레이 상황으로 연계되기 어려운 점이 있었기 때문에 투맨 포스트를 활용한 하이로우 상황 외에는 만들어내기 힘든 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센터들도 3점을 장착하는 시대. 코트를 넓게 쓰고 스패이싱을 강조하게 되면서 골밑이 비는 상황이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
아마추어 농구에서는 백도어 컷을 그리 장려하지 않는다. 상황 자체가 잘 생기지 않는다. 2-3지역방어와 3-2 지역방하에서는 골밑이 비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지않는다. 더구나 수비자 3초 룰이 없으면 빅맨 한명은 골밑에서 나오지 않는 상황이 많다.
또한 한번의 패스로 도움수비가 오기 전에 득점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높은 높이를 보유한 선수를 활용해야한다. 앨리웁과 덩크에 능한 선수를 보유하기 쉽지 않은 만큼 성공률이 낮아 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지역방어를 공략하기 위해 하이포스트에서 공격을 전개하는 상황이라면 백도어 플레이의 동선을 잘 봐둘 필요가 있다. 한번의 패스로 컷인 득점을 만들어 내기 어려울 지라도 유리하게 볼을 돌릴 수 있을 것이다.
'전술 동영상 > 공격전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트업 세팅 후의 컷 Basketball Tactics Post up & Cut #1 (0) | 2018.03.02 |
---|---|
크로스 스크린 농구전술 스크린 플레이 #1 (0) | 2018.02.02 |
다운 스크린 농구전술 기본개념 #1 (0) | 2018.02.01 |
기브 앤 고 Give & Go #1 (0) | 2018.01.28 |
골든스테이트의 팀전술1 (0) | 2016.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