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 규칙 - 볼의 상태
제10조 볼의 상태 (Status of the ball)
10.1 볼은 다음과 같이 라이브, 혹은 데드가 될 수 있다.
10.2 다음과 같은 때에 볼은 라이브가 된다 :
● 점프볼에 있어서, 주심이 토스한 볼이 주심의 손을 떠났을 때.
● 프리 드로에 있어서, 심판이 프리 드로 할 선수에게 볼을 핸딩했을 때.
● 드로 인에 있어서, 심판이 드로 인 할 선수에게 볼을 핸딩했을 때.
10.3 다음과 같은 때에 볼은 데드된다 :
● 필드 골 또는 프리 드로가 성공되었을 때.
● 볼이 라이브 중에 심판이 호각을 불었을 때.
●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프리 드로 한 볼이 바스켓에 들어가지 않을 것이 확실할 때.
- 또 다른 프리 드로가 남아 있을 때.
- 또 다른 벌칙이 남아 있을 때(프리 드로 또는 볼의 소유권)
● 각 피리어드의 경기시간이 끝나는 신호가 울렸을 때.
● 한 팀이 볼을 컨트롤하고 있는 동안 24초 시계의 신호가 울렸을 때.
● 득점을 위해 슛한 볼이 공중에 있는 동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어느 팀의 선수 든지 볼을 터치했을 때 :
- 심판이 호각을 분 다음.
- 피리어드의 경기시간이 끝나는 신호가 울린 다음.
- 24초 시계의 신호가 울린 다음.
10.4 다음과 같은 때 볼은 데드되지 않고 골이 성공되면 득점으로 인정한다.
● 필드 골을 위해 슛 한 볼이 공중에 있는 동안 :
- 심판이 호각을 불었을 때. - 피리어드의 끝남을 알리는 경기시계의 신호가 울렸을 때.
- 24초 시계의 신호가 울렸을 때.
● 프리 드로에 있어서 슛 한 볼이 공중에 있는 동안, 프리 드로한 선수가 범한 바 이얼레이션이 아닌 다른 규칙위반으로 심판이 호각을 불었을 때.
● 필드 골을 위해 슛을 하는 선수가 슛 동작 중에 있을 때 상대팀 선수가 파울을 범했으나, 파울이 일어나기 전에 이미 연속적인 동작으로 시작한 슛을 마쳤을 때. 이 제한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골이 성공되어도 득점으 로 인정하지 않는다.
- 심판이 호각을 분 다음 전혀 새로운 슛 동작을 하였을 때.
- 선수가 연속적인 슛 동작 중에 있는 동안 피리어드가 끝나는 경기시계의 신호 또는 24초 시계가 울렸을 때.
볼의 상태는 우리가 경기중 흔히 '아직 볼이 살아있다'라고 표현하는 그 부분입니다. 심판이 없는 상태에서 농구를 즐겼던 많은 분들이 실전 경기때 익숙치 않아 하는 점들이 여기에 있습니다.
'볼이 살아있는가'와 '볼소유' 그리고 '경기 시간이 전개되는가' 이 세가지가 별개의 개념임을 이해해야 합니다.
매주 금요일 농구 경기 규칙에 대해 알아봅니다. 생각보다 생소한 개념들도 있고 애매모호했던 개념들도 규칙을 보니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규칙서는 2018 KBA 규칙서를 참고 했습니다. 대한민국 농구협회 사이트에서 다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