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구 규칙/2018 KBA 규칙

코트 규격 1

by 농블 2019. 1. 18.


제 2 장 코트와 시설 및 장비 (COURT and EQUIPMENT) 

제2조 코트 (Court) 


2.1 경기장 (Playing court) 

경기장은 바닥이 단단한 평면으로 직사각형이어야 하며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규 격은 경계선 안으로부터 측정하여 길이 28m, 너비 15m이어야 한다. 


2.2 백 코트 (Backcourt) 

한 팀의 백 코트란, 자기 팀 바스켓 백보드 앞면과 그 뒤의 엔드라인, 두 개의 사이 08 Official Basketball Rules 2018 드라인 안쪽과 센터라인 안쪽까지를 말한다. 


2.3 프런트 코트 (Frontcourt) 

한 팀의 프런트 코트란, 상대 팀 바스켓 백보드의 앞면과 그 뒤의 엔드라인, 두 개 의 사이드라인 안쪽과 상대팀 바스켓에 가까운 센터라인 안쪽까지를 말한다.


2.4 선 (Lines) 

코트의 모든 선들은 흰색 또는 대비되는 색으로 너비 5cm로 선명하게 보이도록 그려야 한다.

2.4.1 경계선 (Boundary line) 

코트는 두 개의 엔드라인(코트의 짧은 부분)과 두 개의 사이드라인(코트의 긴 부분) 으로 구분된 지역이며, 이 선들은 코트의 일부분이 아니다. 코트는 팀 벤치에 앉은 사람들을 포함하여 모든 장애물로부터 적어도 2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2.4.2 센터 라인, 센터 서클, 프리 드로 세미 서클 (Centre line, centre circle and free-throw semi-circles) 

센터 라인은 양 사이드라인의 중간 지점에 엔드 라인과 평행이 되도록 양 사이드 라인의 밖으로 15cm를 연장하여 그린다. 센터라인은 백코트의 일부이다. 센터 서클은 센터라인의 중간지점을 중심으로 원의 바깥까지를 측정하여 반지름 1.8m의 서클을 코트의 중앙에 그린다. 프리 드로 세미 서클(반원)은 프리 드로 라인의 중간지점을 중심으로 원의 바깥까지 를 측정하여 반지름이 1.8m의 크기로, 프리 드로 라인 바깥쪽에 그린다.  


농구 코트 규격



2.4.3 프리 드로 라인과 제한구역 및 프리 드로 시행 시 리바운드 구역 (Free-throw lines, restricted areas and free-throw rebound places) 

프리드로 라인은 엔드 라인의 안으로부터 프리드로 라인의 바깥까지를 측정하여 5.8m 거리에 3.6m 길이로 각 엔드 라인과 평행으로 그린다. 프리드로 라인의 가 운데 지점은 두 엔드라인의 가운데 지점과 가상의 일직선상에 있도록 그려야 한다. 엔드라인의 가운데 지점에서 좌우로 바깥까지를 측정하여 2.45m 되는 지점과 프 리드로 라인의 양끝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직사각형의 제한구역을 그린다. 엔드 라 인을 제외하고 이 선들은 제한구역의 일부이다. 프리드로를 시행하는 동안 선수들이 리바운드를 위해 설 자리를 프리드로 라인의 옆선에 그린다.



2018년 기준 정규 코트 규격입니다. 오래된 체육관이나 공원의 코트와는 규격이 다를 경우도 있도 공원에 즐비한 코트들은 주 연령대나 부지 확보 등의 문제로 규격이 다른경우가 꽤나 많습니다.

언젠가 3점 라인이 더 멀어지면서 새로 생긴 코트와 기존 코트간에 차이가 있던 시기가 생각납니다. 친구들 끼리 정규규격이 맞네 아니네로 다투던 학생들이 떠오릅니다.




매주 금요일 농구 경기 규칙에 대해 알아봅니다. 생각보다 생소한 개념들도 있고 애매모호했던 개념들도 규칙을 보니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규칙서는 2018 KBA 규칙서를 참고 했습니다. 대한민국 농구협회 사이트에서 다운 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