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4 3점슛 지역 (3-point field goal area)
상대 팀 바스켓에 가까운 프런트 코트 가운데 다음과 같이 제한된 지역을 제외한 코트의 전 지역이 3점슛 지역이 된다.
● 사이드라인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까지 측정하여 0.90m 지점에 엔드 라인과 직각으로 직선(사이드 라인과 평행으로)을 그린다.
● 상대 팀 바스켓 가운데 지점과 플로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바깥 까지 측정하여 지름 6.75m 반원을 앞서 그린 두 개의 직선과 만나도록 그린다. 반원의 중심점은 엔드 라인의 안쪽 중간지점으로 부터 1.575m 거리여야 한다. 3점슛 지역의 선은 3점슛 지역의 일부분이 아니다 .
3점 인정 지역
2.4.5 팀 벤치 구역 (Team bench areas)
팀 벤치구역은 코트의 바깥쪽에 두 개의 선으로 표시한다. 코치와 어시스턴트 코치, 교대선수들과 팀 관계자들을 위하여 각 팀 벤치에는 최소 16석 의 자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그 밖의 모든 사람들은 팀 벤치로부터 적어도 2m이상 뒤편에 있어야 한다.
2.4.6 드로 인 라인 (Throw-in lines)
기록석 반대편의 사이드라인 밖으로 엔드 라인 안쪽으로부터 바깥쪽까지 측정하여 8.325m 거리에 길이 0.15m인 두 개의 선을 그려 드로 인 라인을 표시한다.
2.4.7 노차지 세미서클(반원) 구역 (No-charge semi-circle areas)
코트에 다음과 같이 노차지 반원구역을 그린다.
● 바스켓의 가운데 지점과 수직으로 플로어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안쪽까지 측 정하여 지름 1.25m 반원을 그린다.
● 바스켓의 가운데 지점과 수직으로 플로어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엔드 라인과 평행으로 그린 가상의 선이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0.375m를 연장하여 그린다. 이 지점은 앤드 라인의 안쪽으로부터 1.2m 떨어진 지점까지다. 즉, 노차지 반원구역은 플로어 상에 백 보드 전면과 같이 평행으로 긋는 가상의 직 선과 연결되는 지점까지 그린다. 노차지 반원 구역의 선은 노차지 반원 구역의 일부분이다.
페인트존 규격
3점슛 라인은 3점슛 지역의 일부분이 아니라는 표현이 눈에 띕니다. 라인을 밟고 던졌을때 2점으로 처리가 되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또한 노차지 에어리가 림을 기준으로 그려진다는 점 또한 흥미롭습니다. 노차지 반원 구역의 선은 노차지 반원 구역의 일부분이기에 밟고 있으면 노차지 에어리어에 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매주 금요일 농구 경기 규칙에 대해 알아봅니다. 생각보다 생소한 개념들도 있고 애매모호했던 개념들도 규칙을 보니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
규칙서는 2018 KBA 규칙서를 참고 했습니다. 대한민국 농구협회 사이트에서 다운 가능합니다.
'농구 규칙 > 2018 KBA 규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구 규칙 - 점프볼과 소유권의 교체 (0) | 2019.02.22 |
---|---|
농구 경기 규칙 - 경기의 시작과 종료 (0) | 2019.02.08 |
농구 경기 규정 - 경기 시간과 동점 그리고 연장전 (0) | 2019.02.01 |
코트 규격 1 (0) | 2019.01.18 |
농구 경기란?? (0) | 2019.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