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립 동작에 대한 영상이다. 특정 상황이나 특정 위치에서 스크리너는 스크린을 서지 않고 간다. 이는 상대 팀의 픽앤롤 수비 방법과도 관련있다.
픽앤롤에 대해 수비팀은 목적을 가지고 수비한다. 볼핸들러의 돌파에 대비해 스크리너 수비자가 돌파위치에서 대기 할 것인지, 바로 스위치해서 바꿔 막을 것인지, 또는 볼핸들러에게 두명이 붙어서 강하게 압박할 것인지, 공격측이 스크린을 활용하면 할수록 수비측도 이에 대비하게 된다.
또한 빠른 공수전환을 선호하는 요즘, 트랜지션 상황에서의 스크린이 잦다. 스크리너는 수비라인이 올라오는 것에 맞춰 스크린을 걸지 않고 빠져나간다.
이러한 동작을 슬립이라고 하는데, 스크리너는 스크린이 걸릴때 까지 대기하지 않고 순간적으로 스탭을 밟아 뒷공간으로 침투한다. 특히 살펴볼 것은 돌아들어가는 모션이다.
수비수들과 스텝이 엉키지 않으면서 몸이 부딪히지 않는 방향으로 돌면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능숙한 스크리너는 때로는 우직한 돌덩이 같은 스크린을 제공하지만 상황에 따라 유유히 미끄러지듯 지나가 림을 공격한다.
수비라인이 올라와 있는 트렌지션 상황에서는 뒷 공간의 수비 동선이 길어지므로 순간적으로 림으로 대쉬하는 것이 가능하다. 많은 팀들은 하프코트를 넘어오자 마자 빠르게 스크린을 이용해 공격하기도 하는데 이때 슬립 동작을 활용한다.
상대는 픽앤롤과 슬립 그리고 페이드의 선택지에서 고민하게 될 것이다. 롤과 팝 그리고 슬립에서의 주인공은 볼핸들러가 아닌 스크리너.
보통 슬립 동작으로 공격이 성공하는 장면을 보면 스크리너를 상대하는 수비자가 뒤로 쳐지지 않고 위로 올라가 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뒷공간이 열렸을때 유리한 동작인 것이다.
때문에 여러 형태로 스페이싱 작업을 하기도 한다. 좌우에 슈터를 배치하기도 하고 스크리너에게 스크린을 걸기도 한다. 결국 패인트 존을 비우는 사전 설계와도 같다.
전통적으로 픽앤롤은 가드와 빅맨의 조합을 선호하지만, 최근에는 가드와 포워드 가드와 가드끼리도 전개한다. 캐빈 듀란트 카일코버 등과 같은 슛이 좋은 포워드들이나 레딕 등의 슈터들은 슬립 동작으로 빠져나와 슛을 시도 한다.
'전술 동영상 > 공격전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프볼 스크린의 여러가지 상황들 (0) | 2019.06.10 |
---|---|
18-19 NBA 플레이오프 전술 - 밀워키1 (0) | 2019.05.04 |
핸드오프 패스를 활용한 픽엔롤 #1 (0) | 2019.04.01 |
포스트업과 컷인 Post up & Cut #2 (0) | 2019.03.25 |
Baseline out of Bounds Play 베이스 라인 아웃오브바운드 플레이 BLOB #1 (0) | 2018.12.11 |
댓글